DevOps 39

Jenkins와 GitLab 연동

1. GitLab 플러그인 설치    2. 1번 단계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GitLab Connection 칸이 생긴다.   참고 👇👇👇https://as-i-am-programing.tistory.com/32 Manage Credentials GitLab 연결 등록 - " data-og-host="as-i-am-programing.tistory.com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as-i-am-programing.tistory.com/32" data-og-url="https://as-i-am-programing.tistory.com/32" data-og-image="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fxW3f/hyVBHv2nzc/7wzYAuWZJgThS..

DevOps/Jenkins 2024.03.17

Jenkins 플러그인 설치 에러

일부 플러그인들이 Retry를 해도 설치되지 않아서 일단 Continue하고 넘어갔다. 🌈 해결 Jenkins 관리 > Plugins > Advanced settings에서 업데이트 사이트 경로를 바꿔준다.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미러 링크 사이트를 볼 수 있다. https://github.com/lework/jenkins-update-center GitHub - lework/jenkins-update-center: Jenkins mirror update center generator Jenkins mirror update center generator. Contribute to lework/jenkins-update-cent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..

DevOps/Jenkins 2024.03.12

413 Request Entity Too Large

이미지 업로드 할때 Local에서는 잘 됐는데 운영 서버에서는 413에러가 뜨면서 사이즈가 너무 크다고 에러가 떴다. 스프링 부트 설정에서 파일 업로드 최대 크기를 10MB로 설정했었고, 로그를 살펴봐도 Exception이 발생한 기록이 없었다. 알고보니 Nginx에서 설정을 해줘야 하는거였다 ! client_max_body_size 10M; 서버 블럭 밖에 정의해주었다. 참고 👇👇👇 https://blog.leocat.kr/notes/2020/04/21/nginx-413-request-entity-too-large [nginx]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오류 nginx로 reverse proxy 를 사용할 때, 용량이 큰 파일을 업로드하면 413 Request Entity T..

DevOps/Nginx 2024.02.14

htop

코어의 갯수를 확인해서 각 프로세스 정보를 디테일하게 모니터링 Ubuntu에 설치 sudo apt-get update sudo apt-get install htop htop 실행 htop 각 색깔은 해당 코어에 사용된 퍼센트 💚normal 🩵 virtualiz ❤️ 커널 💙 low-priority 단축키 F1 단축키 기능 확인 F10 htop 종료 참고 https://pearlluck.tistory.com/147 [linux 명령어] htop : 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(top보다 업그레이드) htop 기존 top보다 업그레이드 된 실시간 모니터링 툴 top은 하나의 코어를 하나의 cpu로 계산 htop은 코어갯수를 확인해서 각 프로세스 정보를 더 디테일하게 모니터링 가능 htop은 따로 패키지 설치 pe..

DevOps/AWS 2024.02.10

AWS ElastiCache 프리티어 생성

2024년 1월 28일을 기준으로 작성됨 ElastiCache를 프리티어로 생성해보았다. 1. 클러스터 설정 ElastiCache Serverless는 프리티어에서 사용할 수 없다. 클러스터를 직접 설계할 때는 노드 시간당 요금이 책정된다. 캐시 노드 유형 vCPU 메모리 네트워크 성능 시간당 요금 cache.t3.micro 2 0.5GiB 최대 5기가비트 USD 0.025 cache.t2.micro 1 0.555 GiB 낮음에서 중간 USD 0.026 ElastiCache cache.t2.micro 또는 cache.t3.micro가 프리티어에서 사용할 수 있다. 위 표를 참고해서 선택하면 된다~ 2. 고급 설정 백업은 월별 GB당 0.085 USD만큼 요금이 부과된다. 3. 검토 및 생성 참고 👇👇👇 ..

DevOps/AWS 2024.01.28

[Error] Unable to access jarfile home/ubuntu/{jar파일명}.jar

sudo docker run -it -p 8080:8080 --name trendgaza_back openjdk:8-alpine java -jar home/ubuntu/{jar 파일명}.jar --spring.profiles.active=prod openjdk:8-alpine 이미지를 이용해서 trendgaza_back 이름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해서 실행하려고 했다. jarfile에 접근할 수 없다는 에러(Unable to access jarfile home/ubuntu/{jar파일명}.jar)가 떴다. 해결 sudo docker run -it -p 8080:8080 --name trendgaza_back -v /home/ubuntu:/home/ubuntu openjdk:8-alpine java -jar ..

DevOps/Docker 2024.01.07

스크립트 실행 에러 해결하기

CodeDeploy의 상태는 성공인데 프런트엔드의 최신 커밋 내용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. ✨ 해결 과정 cd /opt/codedeploy-agent/deployment-root.deployment-logs/ cat codedeploy-agent-deployments.log 스크립트를 실행하던 중에 어느 부분에 문제가 생겼는지 확인하기 위해 codedeploy-agent-deployments.log에서 로그를 확인한다. 그랬더니 이런 로그가 보인다. 권한 문제다. #!/bin/bash REPOSITORY=/home/ubuntu/trendgaza_fe cd $REPOSITORY DIST_PATH=$REPOSITORY/dist echo "> $DIST_PATH 에 쓰기 권한 추가" chmod +w $..

DevOps/AWS 2023.12.19

AWS CodeDeploy 생성

CodeDeploy는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자동화하는 배포 서비스다. 나는 Amazon EC2 인스턴스에 CodeDeploy를 이용해서 배포를 자동화하였다. 1. 어플리케이션 생성을 클릭한다. 2.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. 컴퓨팅 플랫폼에는 EC2/온프레미스, AWS Lambda, Amazon ECS가 있다. 3. 애플리케이션 생성을 했다면, IAM에서 역할을 생성한다. CodeDeploy, EC2 각각에 역할을 생성한다. 🟢 CodeDeploy에 역할 부여 🟣 EC2에 역할 부여 EC2에 AmazonEC2RoleforAWSCodeDeploy 역할을 부여한다. 👆 생성한 IAM 역할을 EC2에 부여한다. 4. EC2에 태그 설정 EC2를 선택한다. > 작업 > 인스턴스 설정 > 태그 관리에 들어간다. 키 ..

DevOps/AWS 2023.12.08